분류 전체보기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동으로 해상도 대응을 해주는 screenutil 패키지 screenutil는 내가 코딩할때 사용한 기기의 해상도를 입력하면 다른 기기에서도 해당 기기의 비율에 맞춰서 자동으로 빌드된다!! 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 const MyApp({super.key});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reenUtilInit( designSize: const Size(412, 915), minTextAdapt: true, splitScreenMode: true, child: MaterialApp.router( routerConfig: _router, ), ); } } 최상단 위젯에 적용해주자! 이후 사이즈를 상수로 선언할 때 숫자 뒤에 h,w 등을 붙여주자! C.. 프로젝트 보고 2 어제 포스팅 이후 API에 대해 계속 알아봤지만 내가 원하던 전체 유저 통계에 대한 API에 대한 정보는 따로 제공하지 않는것 같다..... 그래서 내가 원하는 캐릭터 통계 정보를 가져오려면 2가지 방법이 있을 거 같은데 1. 내가 직접 수집한 유저들의 정보로 알맞게 통계를 냄 2. 웹에서 크롤링으로 정보 가져오기 2번 방법으로하면 내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을 것 같긴하지만 본 프로젝트의 목적인 내가 원하는 벡엔드 공부에는 부합하지 못해 1번 방식으로 해결하려고한다.... 그와 별게로 이게 내가 원하는 UI 이고 이게 내가 현재 완성한 UI이다. (크기만 대략적으로 맞게 구성하였다. 나중에 수정 예정) 이제 앞으로 위젯 클릭시 아래로 자세한 정보가 나오는 UI만 추가 구성 후 백엔드 공부로.. Row안에서 글자 높이 맞추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nst Row(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baseline, textBaseline: TextBaseline.alphabetic, children: [ Text(' 글자'), Text(' 09:04'), Text(' 1시간 전'), ],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Row 아래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baseline, textBaseline: TextBaseline.alphabetic, 추가 API준비 현재 백엔드 공부를 하는중이라 딱히 포스팅 할 것이 없어 그전에 이터널리턴 API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한다. 유저 Num curl -X GET "https://open-api.bser.io/v1/user/nickname?query=닉네임" -H "accept: application/json" -H "x-api-key: ' 내 키'; https://open-api.bser.io/v1/user/games/{유저NUM} 정리하는중에 알게되었는데 캐릭터 통계에 대한 정보를 끌어오는 API가 없다;; 내가 직접 모든 유저의 정보를 정리해서 해야 할 것 같은데... 캐릭터 통계에 대한 부분을 빼고 전적 검색쪽으로 방향을 틀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프로젝트 보고 1 일단 내가 구현하고자 하는 Dak.gg의 화면이다. 첫번째 화면은 전적 검색창 및 실험체 목록 검색창이다. 여기서 검색에서 초성을 제외하면 크게 어려울 것은 없어보인다. 다만 실험체 목록 스크롤에서 해당 스크롤이 끝까지 가지면 이후 화면 전체 스크롤이 되게 하는것이 중요할 것 같다. 두번째 화면과 세번째 화면은 첫번째 화면에서 선택한 실험체의 정보만 받아와서 띄워주면 되는 형태라 크게 어려울 것은 없을 것같다. 일단 화면을 간단하게 비율만 맞춘다는 느낌으로 구성하는 것은 대충 완료 한 것 같다. 이후에는 결국 데이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느껴져서 서버쪽에 대한 공부 및 구상을 해야겠다. 이후 서버작업이 조금 완성되면 riverpod을 사용해서 디자인패턴까지 적용해야겠다. 프로젝트 시작 블로그의 본격적인 포스팅과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한다... 먼저 필자는 23년 중순에 신입 개발자로 취업하여 Flutter 개발을 하고 있다.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내가 아직 부족한게 많다고 느껴져서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한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FmDakgg이다 Fm은 커뮤니티 사이트인 에펨코리아, Dakgg는 게임전적 사이트이다. 따라서 커뮤니티와 전적검색 및 통계를 보여주는 것?? 을 만들고자한다. 다만 회사에서 커뮤니티 제작 업무를 하고 있어서 커뮤니티는 어떻게할지 고민중이다. 개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모두 내가 담당할 것이다..... 프론트는 Flutter를 사용하여 모바일의 형태로 구현 할까 한다. 프로젝트에서 백엔드에 조금 더 힘을 주기 .. Firebase Funtions 권한 https://velog.io/@ember/Firebase-deploy-Forbidden-%ED%95%B4%EA%B2%B0 Flutter vsc 기본 설정 "editor.codeActionsOnSave": { "source.fixAll": "explicit" }, "dart.previewFlutterUiGuides": true, "editor.formatOnSave": true, 각각 자동 const 추가 , 트리 추가, 저장시 자동 줄 정렬 이다. 이전 1 2 3 4 5 6 다음